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2

도파민네이션 현대인은 보편적으로는 술이나 담배(최근엔 마약까지)남자라면 게임이나 포르노, 여자라면 드라마나 SNS에 중독되어 있다. 중독 대상이 내게 악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면 끊는게 맞을 것이다.하지만 중독 대상이 내게 동기부여를 준다면? 굳이 끊어야할까? 이런 경우는 조금 더 깊게 생각해봐야한다. 아직 젊어서 악영향이 없는건 아닌지,그 행위를 지속한다면 미래에 악영향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봐야 한다.예를 들어, 도넛을 하루에 하나씩 먹으면 건강이나 체중에 별 영향이 없다고 느낄 것이다.하지만 그 행위를 2년동안 지속한다면 당뇨, 과체중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 이 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가장 큰 메시지는 쾌락과 고통은 시소와 같다는 것이다.끊임없는 쾌락 추구는 고통을 낳고 도파민 분비량에 따라 더 빠르게 .. 2025. 10. 21.
역행자 게임처럼 인생에도 공략집이 있구나 이 책의 주제를 한 줄로 요약하자면 매일 책을 읽고 매일 글을 쓰면 성공이 따라온다는 것이다. 어렸을 때 반에서 35등을 하고 가장 못생겼고 돈도 없었던 그가 바뀌게 된 계기는 같이 알바를 하던 누나가도서관이 새로 생겼다며 추천해준 일이었다. 그는 평소 고민이었던 사람들과의 관계, 이성과의 대화를 잘 풀어나갈 수 있도록 대화법에 관한 책을 읽고 적용해보았다.실제로 관계가 개선되는 것을 보고 게임할 때처럼 공략이 삶에도 공략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그 후, 책을 몇 백권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자기계발서와 마케팅, 심리학 서적에 관심이 많아 이러한 지식 기반으로 이별 상담 사업을 시작했고크게 성공하였다. 물론 그 후에도 동업자의 배신 등 여러 사건이 있긴 했지만 결국 .. 2025. 3. 29.
빠른 학습의 3가지 원칙, 히든 포텐셜을 읽고 학습에서의 편안함은 모순이다.저자인 애덤 그랜트는 10개국어 구사자는 특별한 언어적 능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그들을 연구했다. 하지만 연구를 거듭하며 그들의 공통점은 언어적 능력이 아닌 불편함에 놓이는 상황을 극복한다는 것이었다.한 예시로, 10개국어 구사자 루이스는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목표를 하루에 실수를 200개 하는 것으로 세운다고 한다.이처럼 학습을 할 때에는 편안함보다는 불편한 상황에 놓이고 이를 극복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불완전주의자가 되어야 한다.완벽주의자는 세 가지 실수를 한다.중요하지 않은 세부 사항에 집착한다.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어려운 과제나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회피한다.실수하면 자신을 비하한다.이는 결국 성장을 더디게 만들 수밖에 없다.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2024. 10. 1.
자살률 1위 대한민국에서 찾는 의미, 죽음의 수용소에서 배운 교훈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읽고이 책의 초반부에서는 홀로코스트 상황에서 저자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수용소에서는 일을 할 수 있는 힘이 있어보이면 노동력을 착취하고 그렇지 않다면 가스실로 보내 처형시킨다. 저자는 당시 작성하던 원고를 완성하고자 하는 의지, 아내와의 내면(상상)의 대화 등으로 버텼다고 한다. 반면, 막연한 희망을 가진 사람은 그 희망이 무너지면 금세 죽고 말았다. 실제로 성탄절 또는 새해가 되면 수용소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성탄절부터 새해까지의 사망률은 급격하게 올라갔다고 한다. 저자는 니체의 말을 인용하여 위의 사례를 표현한다.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어떤 상황도 견딜 수 있다. 의미치료(로고테라피)에 의하면 우리는 삶의.. 2024. 5. 29.
반응형